본문 바로가기

정보처리기사

데이터 통신 정리

* ATM

 - ATM Cell의 헤더는 5옥텟, 유로 부하는 48옥텟

 - 셀 헤더의 생성 및 추출 기능

 - 물리 계층 : ATM 셀 전송

 - ATM 계층 : 셀 헤더 생성, 가입자 채널 다중화

 - ATM 적응 계층 : 패킷 메시지 생성

 

*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에서 물리 계층을 규정하는 것을 RF이다.

 

* LAN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에는 CSMA와 TOKEN을 기억해라.

 

* 비트 스터핑(Bit Stuffing) : 데이터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송 데이터 중간에 의미 있는 비트를 끼워 넣는 것

 

* IPV4를 IPV6으로 전환하는 전략

 1. Dual Stack(듀얼 스택)

     - 호스트에서 IPv4와 IPv6을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스택을 구성하는 것

2.  Tunneling(터널링)

    - IPv6을 사용하는 두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IPv4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통과해야 할 때 사용되는 전략

    - 이 영역을 통과하기 위해 패킷은 IPv4 주소를 가져야만 한다.

    - IPv6 패킷은 그 영역에 들어갈 때 IPv 패킷 내에 캡슐화되고 그 영역을 나올 때 역캡슐화 된다.

3. IPV4/IPv6 변환

    - Header Translation(헤더 변환) : IP계층에서 IPv6 패킷 헤더를 IPv4 패킷 헤더나 그 반대로 변환

    - Relay(전송 계층 릴레이 방식) : 전송 계층에서 IPv6 패킷 헤더를 IPv4 해킷 헤더나 그 반대로 변환

    - Gateway(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방식): 응용 계층에서 IPv6 패킷 헤더를 IPv4 패킷 헤더나 그 반대로 변환

 

* IPv6

 - Unicast, Anycast, MultiCast을 지원한다

 - 더 많은 IP주소를 지원하도록 주소의 크기는 128비트이다.

 - 프로토콜의 확장을 허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.

 - 확장 헤더로 이동성을 지원하고, 보안 및 서비스 품질 기능 등이 개선되었다.

 

* OSI-7 계층 중 물리 계층에서 규정한 특성 4가지

 - 기능적, 기계적, 전기적, 절차적 특성

 

* LAPB 

 - HDLC를 기반으로 하는 비트 위주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로 X.25 패킷 교환망의 표준으로 ITU-T에서 제정했다.

 

* TCP/IP

 1. TCP

     - OSI 7 계층의 트랜스포트(전송) 계층에 해당

     - 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함

     - 메시지를 Encapsulation과 Decapsulation한다.

     - 서비스 처리를 위해 Multiplexing과 Demultiplexing을 이용한다.

     - 전이중 서비스와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.

     - 패킷의 다중화, 순서 제어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함

     - 스트림(stream) 전송 기능을 제공함

     - TCP 헤더에는 Source/Destination Port Numbrt, Sequence Number, Acknowledgment Number, Checksum

     -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계층 서비스 : FTP, SMTP, TELNET, HTTP

 2. IP

     - OSI 7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

     -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

     - 패킷의 분해/조립, 주소 지정,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

     - IP 헤더의 길이는 최소 20Byte에서 최대 60Byte임

     - IP 헤더에는 Version, Header Length, Total Packet Length, Header Checksum, Source IP Address 포함

 3. TCP/IP의 계층

    - 응용 계층 :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 수신 제공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TELENT, FTP, SMTP, SNNP, HTTP, DNS, WAP

    - 전송 계층 :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TCP, UDP, RTP, RTCP

    - 인터넷 계층 :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, 경로 설정 제공, 폭주 제어 기능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IP, ICMP, IGMP, ARP, RARP

   -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: 실제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역할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Etherent, IEEE 802, HDLC, X.25, RS-242C, PPP

 4. 주요 프로토콜

  - ICMP

    - 오류 보고와 오류 수정 기능, 호스트와 관리 질의를 위한 메커니즘이 없는 IP 프로토콜을 보완하기 위해 설계

    -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관리하는 역할

    - 헤더는 8바이트로 구성

 - ARP : IP 주소(논리 주소)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MAC 주소(물리적 주소)로 변환

 - RARP : MAC 주소(물리적 주소)를 IP 주소(논리 주소)로 변환 

 - WAP : 이동 단말이나 PDA 등 소형 무선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줌

 - RTCP(Real Time Control Protocol)

   - Session의 모든 참여자에게 컨트롤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

   - 데이터 분배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.

   -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컨트롤 패킷의 멀티플렉싱을 제공

   - 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만을 제공

   - RIP 소스의 transport-level의 identifier를 전달한다.

   - minimal session control information을 전송한다.

 - PPP 프로토콜

   - 오류 검출 기능만 있고, 오류 복구와 흐름 제어 기능은 없다.

   -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IETF의 표준 프로토콜

   - IP 패킷의 캡슐화를 제공

   - 동기식 및 비동기 점대점 링크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.

 - UDP

   - 전송 전에는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, 오류 복구 기능 없음

   - TCP에 비해 단순한 헤더 구조를 가지므로 오버헤드가 적다

   - 고속의 안정성 있는 매체를 사용하여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

   -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경우

   - 정기적으로 반복해서 전송할 경우

   - 실시간 전송에 유리하며 신뢰성보다는 속도가 중요시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됨

   - UDP 헤더에는 CheckSum, Length, Port Number, Destination, Source Port Number 등 포함됨

  

* 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 설정 요소

 - 성능 기준,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, 정보 발생지, 경로 정보의 갱신 시간

 

* X.25

 - 물리 계층, 프레임(링크) 계층, 패킷 계층 3 계층으로 구성된다. 패킷 계층은 오류제어와 흐름 제어

 - DTE와 DCE 간 상호 접속 및 통신 절차 규범

 - 패킷 교환망을 통한 DCE와 DT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

 - ITU-T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진다.

 - 신뢰성과 효율성이 높고, 전송 품질이 우수

 - 연결형 프로토콜로 흐름 제어,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이 있다.

 - OSI의 3 계층과 4 계층의 일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은 X.25의 패킷 계층이다.

 - 가상 회선에는 PVC, SVC가 있다.

 

* 시분할 다중화기(TDM) 

 0. 다수의 타임 슬록으로 하나의 프레임이 구성되고 각 타임 슬롯에 채널을 할당하여 다중화

 1. 통신 회선의 대역폭을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여러 대의 단말장치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

 2. 디지털 회선에서 주로 이용,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됨

 3. 내부 속도와 단말장치의 속도 차이를 보완해 주는 버퍼가 필요

 4. 종류

     -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(STDM : 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)

        - 모든 단말장치에 균등한 시간 폭을 제공

        - 전송되는 데이터의 시간 폭을 정확히 맞추기 위한 동기 비트가 필요

        - 통신 회선의 데이터 전송률이 전송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 전송률을 능가할 때 사용

        -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시간 폭이 제공되므로 효율성이  떨어짐

        - 송신 측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채널 별로 분리하여 각 채널 버터에 저장, 이를 순차적 전송

        - 다중화된 회선의 데이터 전송률은 접속장치들의 데이터 전송률의 합과 같음

    -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(ATDM : 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)

       -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시간 폭을 제공하므로 전송 효율이 높음

       - 동기식보다 많은 수의 단말기들이 전송 매체에  접속할 수 있음

       -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질 경우 전송 지연이 생길 수 있음

       - 동기식에 비해 접속에 소요되는 시간이 김

       - 주소 제어, 흐름 제어,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을 하므로 복잡한 제어 회로와 임시 기억장치가 필요하고 비쌈

       - 지능 시분할 다중화기, 확률적 시분할 다중화기,

         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(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)라고도 함

       - 다중화된 회선의 데이터 전송률은 접속장치들의 데이터 전송률의 합보다 작음

 

 *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(FDM)

 - 통신 회선의 주파수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여러 대의 단말장치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

 - 전송 신호에 필요한 대역폭보다 통신 회선의 유효 대역폭이 큰 경우에 사용

 - 다중화기 자체에 변, 복조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모뎀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.

 - 시분할 다중화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다

 - 대역폭을 나누어 사용하는 각 채널들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대역(Guard Band)이 필요

 - Guard Band 사용으로 인한 대역폭의 낭비가 초래된다.

 - 저속의 비동기 전송, 멀티 포인트 방식,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 적합하다.

 - 터미널 수가 고정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송 방식

 - 주로 유선방송에서 많이 사용

 

* CDMA 

 -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여 지형지물 등으로 인한 간섭 및 회절 현상 등의 다중 경로 손실을 완화하므로

   산악 지형 또는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 우수한 통화 품질을 제공한다.

 

* Flag의 용도 -> 프레임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정의한다.

 

* HDLC(High-level Data Link Control)

 - 점대점 링크 및 멀티포인트 링크를 위한 프로토콜

 - 반이중 통신과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한다.

 -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

 - 비트 지향형 전송 프로토 방식을 위한 2바이트 또는 4바이트 FCS를 포함

 - FCS를 포함하는 이유는 전송 오류 검출을 위함이다.

 - CRC

 -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에 의해 흐름 제어를 제공

 - 프레임의 종류

 1. information(정보) 

     - 제어부가 0으로 시작

     -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피기백킹 기법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을 보낼 때 사용

 2. Supervisor(감독) 

     - 제어부가 10으로 시작

     - 오류제어와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 -> S-Frame을 사용

     - 프레임 종류 식별

 3. Unnumbered(비번호, U 프레임)

     - 제어부가 11로 시작

     - 링크의 동작 모드 설정과 관리, 오류 회복을 수행

 - 데이터 전송 모드 : 제어부에서 관리하는 U프레임의 의해 설정

 1. NRM(표준 응답 모드) 

     - 반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또는 멀티 포인트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

     - 종국은 주국의 허가가 있을 때에만 송신, 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 가능

 2. ARM(비동기 응답 모드)

     - 전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

     - 종국은 주국의 허가 없이도 송신이 가능하지만 링크 설정이나 오류 복구 등의 제어 기능은 주국에서만 한다.

 3. ABM(비동기 균형 모드)

     - 전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균형 링크에서 사용

     - 혼합국끼리 허가 없이 언제나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

 

* Routing(경로 제어)

 - 송 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를 제어하는 기능

 - 경로 제어 요소 : 성능 ,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, 정보 발생지, 경로 정보의 갱신 시간 (=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)

 - 라우팅 테이블이 가지고 있는 경로 정보 : 다음 홉 주소, 메트릭, 목적지 주소

 - 경로 제어 프로토콜

    1. IGP : 하나의 자율 시스템(AS)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
               RIP :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인접해 있는 라우터와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으로 홉(거리값) 수를 기반으로 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최대 홉수를 15로 제한 

               OSPF : 홉 수에 제한이 없어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라우팅 정보에 변화가 있을 때 변화된 정도만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게 알린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멀티 캐스팅을 지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링크 상태 방식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한다.

    2. EGP : 자율 시스템(AS) 간의 라우팅,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
    3. BGP : 자율 시스템(AS) 간의 라우팅, EGP의 단점 보완

                초기에 BGP 라우터들이 연결된 때에는 전체 경로 제어표를 교환하고 이후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

                경로 백터 제어 프로토콜로 AS 간의 라우팅 테이블을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된다.

 - 경로 제어 방식

    1. Static Routing(고정 경로 제어, 착국 부호 방식) : 경로를 미리 정해놓는 방식

    2. Adaptive Routing(적응 경로 제어) : 전송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방식

    3. Flooding(범람 경로 제어) : 네트워크에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송 수신처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로 전송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각 노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된 링크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에 전송

    4. Random Routing(임의 경로 제어) : 인접하는 교환기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식

     

 

* 전송 제어 문자

 - SYN : 문자 동기

 - SOH : 헤딩의 시작

 - STX : 본문의 시작 및 헤딩의 종료

 - ETX : 본문의 종료

 - ETB : 블록의 종료

 - EOT : 전송 종료 및 데이터 링크의 해제

 - ENQ : 상대편에 데이터 링크 설정 및 응답 요구

 - DLE : 전송 제어 문자 앞에 삽입하여 전송 제어 문자임을 알림(문자의 투과성을 위해 삽입)

 - ACK :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

 - NAK :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

 

* 동기식 전송

 - 전송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합쳐 프레임이라고 한다.

 -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문자열을 한 블록으로 만들어 일시에 전송하는 방식

 -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.

 - 시작/종료 비트로 인한 오버헤드가 없고 휴지 시간이 없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다.

 -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.

 - 단말기는 반드시 버퍼 기억장치를 내장해야 한다.

 - 비트 동기 방식과 블록 동기 방식이 있다.

 - 수신기가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한 프레임 레벨의 동기화가 필요하다.

 - 블록 동기 방식은 문자 동기 방식과 비트 동기 방식으로 나뉜다.

 - 송신기와 수신기의 동일한 클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

 - 송신기에서는 데이터 비트열을 전송하는 데 사용한 클록 신호를 수신기가 사용하여 타이밍 오류 없이 정확한 데이터

   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

 - 프레임의 형식은 크게 문자 위주와 비트 위주로 나누어진다.

 

 * 비동기식 전송

 - 어떤 문자도 전송되지 않을 때는 통신 회선은 휴지(Idle) 상태가 된다.

 - 한 문자를 전송할 때마다 동기화시킨다.

 - 각 비트 블록의 앞뒤에 시작과 정지 비트를 덧붙인다.

 - 일반적으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해서 전송한다.

 

* CSMA/CD

 - 자유경쟁으로 채널 사용권(토큰)을 확보하는 방법, 노드 간 충돌을 허용한다

 - 버스 또는 트리 토폴로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

 - 비경쟁 기법의 단점인 대기 시간의 상당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.

 

* 토큰 패싱

 - 회선의 대한 사용권한을 의미하는 토큰이 각 노드를 차례로 옮겨 다니는 방식

 - 토큰을 분실할 가능성이 높다

 - 노드가 증가하면 토큰의 순회 시간이 길어지므로 네트워크의 속도가 저하된다.

 

* 자동 반복 요청(ARQ)

 - 오류 발생 시 수신 측은 오류 발생을 송신 측에 통보하고, 송신 측은 오류 발생 블록을 재전송하는 모든 절차

 - Stop-and-Wait ARQ 

   - 송신 측에서 한 개의 블록을 전송한 후 수신 측으로부터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

   - 구현 방법은 단순, 전송효율 떨어짐

 - Continuous ARQ 

   - 연속적으로 데이터 블록을 보내는 방식

   - Go-Back-N ARQ : 오류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

   - Selective Repeat ARQ : 오류가 발생한 블록만을 재전송,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원래 순서대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조립해야 하므로, 더 복잡한 논리회로와 큰 용량의 버퍼가 필요함

 - Adaptive ARQ

   - 데이터 블록의 길이를 채널의 상태에 따라 그때그때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식, 전송 효율이 제일 좋다

   - 제어회로가 복잡하고, 비용이 많이 들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.

 

* Cyclic Redundancy Check(CRC) : 에러 검출 방식으로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 신뢰성 있는 오류 검출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프레임 단위로 오류 검출을 위한 코드를 계산하여 프레임 끝에 부착하는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를 FCS라고 한다. 집단 오류 검출, 다항식 코드

 

* OSI 7 계층

 - 물리 : 전송 매체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 정의 --> 프레임

            RS-232C

 - 데이터 링크 : 흐름 제어, 프레임 동기화, 오류 제어, 순서 제어 --> 프레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HDLC, LAPB, PPP, LLC

 - 네트워크 : 경로 설정(Routing), 트래픽 제어, 패킷 정보 전송 --> 패킷

                  X.25, IP

 - 전송 : 주소 설정, 다중화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,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전달 --> 세그먼트

            TCP, UDP

 - 세션 : 대화 구성 및 동기제어,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 --> 메시지

            체크점(동기점) :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, 소동기점과 대동기점이 있음

 - 표현 : 코드 변환, 데이터 암호화, 데이터 압축, 구문 검색, 정보 형식 변환, 문맥 관리 --> 메시지

 - 응용 : 사용자가 OSI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, 가상 터미널이 존재, 호환성 문제 해결, ARQ --> 메시지 

 

* 변조 방식

 - 아날로그 -> 아날로그 : 진폭 변조(AM), 주파수 변조(FM), 위상 변조(PM)

 - 아날로그 -> 디지털 : 펄스 부호 변조(PCM)

 - 디지털 -> 아날로그 : 진폭 편이 변조(ASK), 주파수 편이 변조(FSK), 위산 편이 변조(PSK), 직교 진폭 변조(QAM)

 - 디지털 -> 디지털 : 베이스밴드 전송

 

* TMN 계층

 - 통신망의 체계적인 운용 및 관리를 위한 계층

 - BML(사업 관리 계층)

 - SML(서비스 관리 계층)

 - NML(네트워크 관리 계층)

 - EML(망요소 관리 계층)

 - NEL(망요소 계층)

 

* Piggyback

 - 수신 측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확인(ACK)을 즉시 보내지 않고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,

   기존의 데이터 I프레임에 확인 필드(ACK)를 덧붙여 전송하는 흐름 제어 방식, 데이터 I프레임에 확인 응답을

   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피기백킹이라 함

 

* 전송 속도 : 변조 속도 * 변조 시 상태 변화 수 PSK 변조 방식은 2^n, 트리 비트는 3비트

 

* 변조 속도 : 전송 속도 / 변조 시 상태 변화 수

 

* ICMP

 - IP 프로토콜에서는 오류 보고와 수정을 위한 메커니즘이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설계됨

 -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

 - ICMP의 메시지는 하위 계층으로 가기 전에 IP 프로토콜 데이터그램 내에 캡슐화된다.

 - ICMP의 헤더는 8바이트로 구성

 

* IEEE 802의 주요 표준 규격

 - 802.1 : 전체의 구성

 - 802.2 : 논리 링크 제어 계층

 - 802.3 : CDMA/CD 방식

 - 802.4 : 토큰 버스 방식

 - 802.5 : 토큰 링 방식

 - 802.6 : 도시형 통신망(MAN)

 - 802.11 : 무선 LAN

 

* 데이터 전송 시 오류의 발생 원인

 - 감쇠 : 전송 신호 세력이 전송 매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거리에 따라 약해지는 현상

 - 자연 왜곡 : 하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여러 신호를 전달했을 때 주파수에 따라 그 속도가 달라짐으로써 생기는 오류

 - 상호 간섭 잡음 

    -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하나의 전송 매체를 공유할 때 주파수 간의 합이나 차로 인해 새로운 주파수가

      생성되어 잡음

 - 누화 잡음 

    - 인접한 전송 매체의 전자기적 상호유도 작용에 의해 생기는 잡음, 전화 중 다른 전화의 내용이 함께

      들리는 현상

 - 백색 잡음(가우스 또는 열잡음) 

    - 도체 내의 온도에 따른 전자 운동량의 변화와 전자기적 충격으로 주파수가 왜곡 지연

 

* Hand off

 - 이동통신 가입자가 셀 경계를 지나면서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거나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 품질이 떨어져 

   현재 사용 중인 채널을 끊고 다른 채널로 절체 하는 것

 

* 데이터 교환 방식

 - 회선 교환 방식

 - 축적 교환 방식

    - 메시지 교환 방식

    - 패킷 교환 방식 : 가상 회선 교환 방식, 데이터그램 교환 방식

 

* 회선 교환 방식

 - 일단 접속이 이뤄지면 접속을 해제할 때까지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다.

 - 호 설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정보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용 통신로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.

 - 호 설정이 이루어진 다음은 교환기 내에서 처리를 위한 지연이 거의 없다.

 - 회선 이용률 면에서는 비효율적이다.

 - 오류 제어나 흐름 제어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므로 에러 없는 정보 전달이 요구되는 데이터 서비스에는

   부적합하다.

 

* 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

 1. 가상 회선 방식 

     - 단말기 상호 간 논리적인 가상 통신 회선을 미리 설정하여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의 연결을 확립한 후

       설정된 경로를 따라 패킷들을 순서적으로 운반하는 방식

     - 통신이 이루어지는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의 안정, 신뢰성이 보장됨

     - 패킷의 송 수신 순서가 같음

     - 통신 과정 -> 호 설정, 데이터 전송, 호 해제

 2. 데이터그램 방식

     - 연결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인접한 노드들의 트래픽 상황을 감안하여 각각의 패킷들을 순서에 상관없이

       독립적으로 운반하는 방식

     - 패킷마다 전송 경로가 다르므로 송 수신 순서가 다를 수 있음

     - 소수의 패킷으로 구성된 짧은 데이터 전송에 적합

 

* 패킷 교환 방식의 특징

 - 패킷의 길이가 제한된다.

 - 전송 데이터가 많은 통신 환경에 적합하다

 - 저장-전달 방식을 사용한다.

 - 장애가 발생하여도 다른 정상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우회할 수 있다.

 

* OSI 7 계층은 홉(네트워크의 노드) 단위로 총신이 수행되는 1~3 계층과 종단 간 통신이 수행되는 4~7 계층으로 구분

 

* IP 주소

 -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

 - 숫자로 8비트씩 4 부분 총 32비트로 구성 A~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

 - A : 국가나 대형 통신망

 - B : 중대형 통신망

 - C : 소규모 통신망

 - D : 멀티캐스트 용

 - E : 실험용, 공용되지 않음

 

* ASCII 코드 : ITU-T 및 ISO에서 권고하는 데이터 통신 코드, 7비트 정보 비트와 1비트의 패리티 검사용 비트로 구성

 

* Traffic Control(트래픽 제어)

 - 네트워크의 보호, 성능 유지,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또는 그 양을 조절함

 - 흐름 제어(Flow Control) : 송 수신 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

 - Stop-And-Wait

   - 수신 측의 확인 신호(ACK)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

   -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을 전송

 - Sliding Window

   - 미리 정해진 패킷의 수만큼 연속적으로 전송

   - 한 번에 여러 패킷을 전송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이 좋음

   - 전송 지연이 긴 선로에 적합

   - Window Size :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개수, 상황에 따라 변함

 

 * PAP 패킷과 CHAP 패킷은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것으로 PPP 프레임의 프로토콜 필드 값에 의해 구분된다.

 

 * ITU-T : 1993년 창설, 국가 간 통신의 호환성을 위해 각 통신 분야의 기술 및 운용에 대한 표준화를 목적

 

* 다중화

 -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넓은 대역폭을 가진 하나의 전송 링크를 통하여 여러 신호를 동시에 실어 보내는 기술

 

* 순방향 오류 수정(Foward Error Correction)

 - 해밍 코드, 상승 코드

 

* VAN

 - 부가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

 - 부가가치를 부여한 데이터 등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

 

* RTP(Real-time Transprot Protocol)

 - Extension(X) 필드가 세팅되어 있는 경우는 RTP헤더 다음에 확장 헤더가 있다.

 

* DCF

 - 무선 LAN에서 경쟁적으로 매체에 접근할 때 생길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

 

* 에러 검출 방식의 종류

 - 패리티 검사, Block Sum Check, 순환 중복 검사(CRC), 궤한 전송 방식, 자동 연속 방식(연속 전송 방식),

   해밍 코드 방식, 상승 코드 방식, Biquinay, Ring-Counter, 2-out-of-5(정 마크(정 스페이스) 방식), 3-out-of-5

 

* HDLC 프레임 형식 

 - 8비트 길이의 플래그

 - 8비트 또는 16비트의 제어 영역

 - 가변 길이의 정보영역

 - FCS는 16 혹은 32비트

 플래그 주소영역 제어영역 정보영역    FCS  플래그

 

* 최소 해밍 거리에서 수신 시 정정할 수 있는 최대 오류의 수

 - 최소 해밍 거리가 7일 때 -1을 하고 나누기 2를 한다.

 - 검출 가능한 에러의 개수 같은 경우엔 -1을 한다.

 

*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

 - 구문(syntax), 의미(semantic), 타이밍(timing)

 

* OFDM

 - 하나의 정보를 여러 개의 반송파로 분할하고, 분할된 반송파 사이의 주파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

   직교 다중화해서 전송하는 통신방식, 와이브로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등에 사용된다.

 

* 이더넷 시스템 규격

 - 1000BaseT는 이더넷 시스템 규격으로 1000은 전송 속도가 1000Mbps, BASE는 베이스밴드 방식, T는 전송 매체로

   꼬임선 케이블을 사용함을 나타냄

 

* 통신 용량 늘리는 법

 - 주파수 대역폭을 늘림, 신호 세력을 높임, 잡음 세력을 줄임

 

*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

 - 회선 접속 -> 데이터 링크 확립 -> 정보 전송 -> 데이터 링크 해제 -> 회선 절단

 

* 표본화 주파수 구하기

 - 최대 주파수의 2배

 

* 유효한 서브네트 ID는 서브넷 마스크 범위 안에 속해야만 한다.

 

* ISI 측정 시 눈 패턴(eye pattern)

 - 눈을 뜬 좌우의 폭 : 간섭 없이 수신파를 Sampling 할 수 있는 주기

 - 눈을 뜬 상하의 높이 : 잡음의 여유도

 - 눈이 감기는 비율 : 시스템 감도로 결정, ISI가 심하면 눈이 완전히 감기게 됨

 

* 디지털 -> 아날로그 변조를 Keying이라고 한다.

 

* 16진 QAM

 - 16진 PSK 변조 방식보다 동일한 전송 에너지에 대해 오류 확률이 낮다

 - coherent(동기 검파) 방식으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.

 - 진폭과 위상이 변화하는 변조 방식

 - 2차원 벡터 공간에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.

 

* ALOHA : 최초의 라디오 패킷 통신 방식을 적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

* ARPANET : 1969년 미 국방성에서 설치한 최초의 유선 패킷 교환 시스템, 인터넷의 효시가 된 통신시스템

* SNA : 1974년 IBM사에서 발표한 컴퓨터 간 접속 네트워크 시스템 표준으로 SNA로 인해

           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표준화가 시작됨

 

* 통신 용량(bps) 구하기 : W * log2(1+S/N) -> log2는 2를 몇 번 곱했는지

* 신호대 잡음비는 S/N을 구하는 것

 

* NRZ-M

 - 베이스 밴드 전송 방식 중 하나로 비트 간격의 시작점에서는 항상 천이가 발생,

   1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

   0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하지 않음

 - 0은 신호 변화 없이 전 상태를 유지, 1일 때는 신호 변화 발생

* NRZ-L

 - 전송 부호에서 1의 경우 low-Level 0의 경우 high-Level 부여

* NRZ-S

 - NRZ-M과 동일한 신호 변화를 적용하되 입력 신호의 보수를 취한 형태로 적용

 

* 파형 부호화 방식(Waveform Coding)

 - PCM, DPCM, ADPCM, DM 등이 있다.

 

*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

 - H.323, SIP, MEGACO

 

* 표본화 주기 구하기

 - 1 / 2*W

 

* SIGTRAN

 - 인터넷 망(IP Network)과 유선 전화망(PSTN) 간을 상호 연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

 

* 전송 오류 제어 방식

 - FEC(전진 오류 수정)

   - 재전송 요구 없이 수신 측에서 스스로 오류 검출과 수정을 하는 방식

   - 역채널이 필요 없고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이 가능함

   - 데이터 비트 이외에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비트들이 추가로 전송되어야 하기에 전송 효율이 떨어짐

   - 해밍 코드, 상승 코드 방식이 있음

 - BEC(후진 오류 수정)

   -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송신 측에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

   - 패리티 검사, CRC, 블록 합 방식 등을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제어는 ARQ에 의해 이루어짐

 

* PAD

 - 패킷화 기능이 없는 일반형 터미널에 접속하여 패킷의 조립과 분해 기능을 대신해 주는 장치

 

* SONET

 - 광전송망 노드와 망 간의 접속을 표준화한 것

 - 다양한 전송기기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광신호와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

 - STS-12의 기본 전송속도는 622.08 Mbps이다.

 

* Polling

 - 불균형적인 멀티포인트 링크 구성 중 주 스테이션이 각 부 스테이션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회선 제어 방식

 - 단말 -> 제어국(주컴퓨터) 데이터 전송

 - 반대로 제어국(주컴퓨터) -> 단말 데이터 전송은 Selelction 이다.

 

* 맨체스터 코딩 박식

 - 이진 신호 0의 경우, 비트 구간의 오른쪽 1/2 지점에 존재

 

* QPSK 변조 방식은 4위상 편위 변조 방식으로 최대 전송할 수 있는 비트의 수는 2Bit이며

  대역폭 효율은 2 bps/Hz이다. 2^2

* 4개의 위상과 2개의 진폭은 각각 2^2, 2^1을 뜻하며 더하면 3이다. 전송속도는 X3을 하면 된다.

* 양자화 잡음 = PAM 펄스의 아날로그 값 - 양자화된 PCM 펄스의 디지털 값

 

* NAT

 - 외부 네트워크에서 알려진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변환 하는 것

 

'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후기  (0) 2019.09.01
데이터베이스 정리  (0) 2019.07.31
전자계산기 구조 정리  (4) 2019.07.31
운영체제 정리  (0) 2019.07.31
소프트웨어 공학 정리  (2) 2019.07.31